skip to main content
Primo Search
Search in: Busca Geral

차이와 생성으로서의 디지털 서사: 공감각적 내재성

원철

2012

Sem texto completo

Citações Citado por
  • Título:
    차이와 생성으로서의 디지털 서사: 공감각적 내재성
  • Autor: 원철
  • Assuntos: Assemblage ; Becoming ; Body without organs ; Communication ; Connection ; Difference ; Digital literacy ; Digital narrative entertainment ; Digital storytelling ; Dynamism ; Hypertext ; Identity ; Immanence ; Individual ; Intensity ; Interactivity ; Intertextuality ; Linearity ; Literacy ; Media Ecology ; Multilinearity ; Multiplicity ; Narrative ; Nonlinearity ; Orality ; Plane of consistancy ; Plot ; Printing ; Rhizome ; Synesthesia ; Text ; Visual ; 개인 ; 거대서사 ; 공감각성 ; 구어성 ; 근대소설 ; 기관들 없는 신체 ; 내재성 ; 다선형성 ; 다양체 ; 담론 ; 동일성 ; 되기 ; 디지털 리터러시 ; 디지털 스토리텔링 ; 리좀 ; 문자성 ; 미디어 생태학 ; 배치 ; 분쟁 ; 비선형성 ; 상호작용성 ; 상호텍스트성 ; 생성 ; 서사 ; 선형성 ; 시각 ; 엔터테인먼트 ; 역사 ; 연결 ; 인쇄 ; 인식의 지도 그리기 ; 자아 ; 작은 이야기 ; 주체 ; 차이 ; 커뮤니케이션 ; 탈중심화 ; 텍스트 ; 플롯 ; 하이퍼리얼 ; 하이퍼텍스트
  • Notas: 부산외국어대학교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25906&local_id=10047351
  • Descrição: 문자가 가진 시각적 특성은 주체(아는 사람)와 대상(알려지는 것)을, 언어와 그것이 사용되는 조건을 분리한다. 쓰기 이후 인쇄술에 의해 가속화된 이와 같은 분리적 특성이 언어의 선형성, 연속성, 논리성 등을 전경화시키고, 문자성이 내면화된 인간의 의식도 선형적, 추상적, 개념적, 논리적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문자성은 서사에 있어서는 선형적 플롯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소설에 잘 나타나 있다. 이러한 점들을 살펴봄으로써 문자성이 근대적인 이분법적 사고방식에 기초한 시각중심적 인간과 문화가 형성되는 것과 관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서사를 구체성, 직접성, 생성과 변화의 세계에서 떼어놓은 문자성의 시각편향은 구어성과 청각을 비롯한 공감각에 의해 보완될 필요가 있다. 상호의존적 차이와 생성의 세계로서의 공감각적 서사는 저자/글이라는 이분법이 해체되어 외부로부터 규정력이 행사되지 못하는 공간이다. 의미는 논리적 선형성을 따라 추출되는 것이 아니라, 기표, 담론, 목소리, 사건, 사태들의 우연적인 연결과 충돌에 의해 언제나 새로운 것으로 생성되고 변화한다. 공감각적 서사는 구체적이고 다양한 세계와 현실을 포괄하는데 유리한 형식이며, 분리적 시각보다는 서로가 서로에게 연결되고 통합되는 구체적인 감각들인 청각이나 촉각에 의한 인지를 구현하는 공간이다. 공감각적 서사로서의 텍스트의 특성과 이념은 기술적으로는 하이퍼텍스트에서 구현되고 있다. 컴퓨터 기술에 기반한 하이퍼텍스트는 먼저 인쇄의 선형성이 제거된 상호작용과 연결에 의해 구체적인 서사체들로 경험되는 서사 방식이다. 따라서 이것은 다양성, 이질성, 구체성을 그 특성으로 하는 비선형적/다선형적 서사이이다. 웹의 네트워크를 따라 이론적으로 무한한 통로들이 구성될 수 있는 “무한하게 탈중심화하고 재중심화할 수 있는 체계”(Landow 57)인 하이퍼텍스트는 선형적 플롯을 따른 논리적 수렴보다는 상호 연결을 통한 무한한 확산에로 향한다. 텍스트 개념의 기술적 수렴으로 인식되고 있는 하이퍼텍스트를 살펴봄으로써, 기술적 차원에서의 공감각성 뿐 아니라 의식적 차원에서의 공감각적 특성, 즉 차이, 생성, 내재성의 사유 등을 긍정하는 서사의 가능성을 찾을 수 있다. 이것은 더 근본적으로는 우리의 의식, 문화, 삶의 관계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정립하는데 필요한 작업이 될 것이다. 공감각성을 회복하고, 또한 지배의 형식에 저할할 수 있는 서사의 또 다른 형태로 우리는 디지털 스토리텔링을 생각해볼 수 있다. 지배의 형식들은 모든 것을 자신들의 담론 양식으로 환원시키고자 하는데, 이러한 지배의 형식들에 저항하는 무언가를 우리는 디지털 내러티브 As the number of printed texts exploded after the advent of the printing press in early modern Europe, modern man internalized the 'literacy' in his conscious. The alphabet reinforces the sense of vision more than the other senses. Vision separates knowing man from the known object, self from the other. The visual-oriented writing shaped the logical, abstract, linear individual, dissociated from the concrete, dynamic life and reality. The concept of the author who creates, dominates, and controls his or her work is the literary version of the visual individual. In contrast to the self/other, author/work dichotomy based on the literacy, 'text' can recover the unifying 'orality'. As the sense of hearing adheres a hearing person to the heard sound, the orality tends to unite man with the world. The meaning of a text does not come from the original or transcendental author, but arises from the 'signifying process' which encompasses the very material condition and process of the world where we live. It is needed to recover the 'orality' for us to exist in the material condition and process of dynamic reality. It is also needed to combine the literacy and orality to balance our culture. And also, digital storytelling enables the authors of digital stories to approach and presen
  • Data de criação/publicação: 2012
  • Idioma: Coreano

Buscando em bases de dados remotas. Favor aguard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