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Primo Search
Search in: Busca Geral

한국 생태시티즌십 인식유형에 관한 경험적 연구

박순열

2012

Sem texto completo

Citações Citado por
  • Título:
    한국 생태시티즌십 인식유형에 관한 경험적 연구
  • Autor: 박순열
  • Assuntos: Citizenship ; Civic-republicanism ; Cosmo-politanism ; Eco/Environmental-Subject ; Ecological Citizenship ; Ecological Democracy ; Ecology ; Envrionmental Perception ; Q Methodology ; Q방법론 ; 낭만적풍요주의 ; 녹색시민 ; 동정적소비주의 ; 생태담론 ; 생태민주주의 ; 생태시티즌십 ; 생태적세계시민주의 ; 영토적개발주의 ; 피상적보수주의 ; 환경의식 ; 환경인식 ; 환경행동
  • Notas: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21476&local_id=10030402
    서울대학교
  • Descrição: 본 연구는 그 발생과 해결과정이 대단히 복합적이면서도 긴급한 대응을 요하는 (전지구적) 환경문제 해결에 있어서, 그리고 또 우리 사회가 보다 민주적이면서도 생태적인 방향으로 나아가는데 긴요한 ‘생태시티즌십(ecological citizenship)’에 관한 한국적 인식유형을 찾아내고, 이를 토대로 생태시티즌십의 이념형(ideal typer)을 창안하고, 그것과 다른 사회정치적 요인과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는 틀을 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환경문제의 복잡성과 복합성은 환경문제의 해결이 개인이나 소규모 공동체 자체의 변화만으로는 불가능하고 (전지구적인 수준의) 정치, 사회, 경제 제도와 같은 사회구조적인 변화를 필요로 함을 의미한다. 그러나 사회구조적인 변화는 동시에 사회구조적인 변화를 추동하는 행위자임과 동시에 사회구조적인 변화로 영향을 받는 새로운 유형의 주체 즉, 생태적이면서도 민주적인 시민과의 선순환적 관계를 전제로 한다. 1차년도 연구를 통하여 현재 한국사회에 존재하는 생태시티즌십에 관한 시민들의 인식유형, 즉 시민이 환경문제(발생, 진행, 해결)에서 자연, 동료시민, 소속된 공동체, 그리고 지구적 수준에서 맺는 관계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유형을 Q방법을 이용한 경험적인 조사를 통하여 찾아내고, 이를 토대로 한국적 생태시티즌십의 이념형을 창안함으로써 우리 사회가 보다 생태적이면서도 민주적인 방향으로 나아가는데 새로운 유형의 주체, 생태시민의 형성과 관련된 학문적, 정책적 함의를 모색하였다. Q조사를 토대로 추출된 인식유형은 한국사회에 존재하는 생태시티즌십에 관한 이념형(ideal type)으로서, 생태적 세계시민주의(ecological cosmopolitanism), 낭만적 풍요주의(romantic affluentism), 동정적 소비주의(sympathetic consumerism), 영토적 개발주의(territorial developmentalism), 피상적 보수주의(shallow conservatism)로 명명하였다. 생태적 세계시민주의 인식유형은 생태주의, 민주주의, 세계시민주의에 대한 헌신과 더불어 지구촌의 다른 국가에 대한 책임과 의무감을 강조한다. 그러나 시장주의와 과학기술(전문가)에 대해서는 비판적인 입장을 지니고 있다. 또한 미래세대에 대한 배려와 환경문제의 심각성에 따른 긴급한 행동, 과학기술과 관련된 정책결정과정에 시민들의 민주적 참여는 긍정하지만, 시장지상주의와 경제발전을 위한 규제완화에 대해서는 반대를 표명하였다. 2차년도 연구를 통하여 생-물리적인 것과 사회적인 것들이 복합적으로 구조화되어있는 환경의식을 Q조사에서 추출한 생태시티즌십 인식유형(피상적보수주의, 낭만적풍요주의, 생태적세계시민주의, 영토적개발주의, 동정적소비주의)으로 측정하였다.또한 온라인조사자료를 이용하여 복합적 환경의식, 그 사회인구학적 분포와 특징, 그리고 환경행동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는 의식조사에서 충분하게 드러낼 수 없는 환경의식의 다차원성과 복합성을 일반화가 가능한 양적조사와 통합하는 시도이다. 연구결과를 보면, 소수의 응답자만이 스스로를 피상적보수주의나 영토적개발주의라 생각하였고, 규범적으로 바람직하게 생각할 수 있는 생태적세계시민주의는 1/5가량 이었다. 그러나 응답자들은 다른 대부분의 사람들은 피상적보수주의나 영토적개발주의에 속하고, 생태적세계시민주의에 해당하는 사람은 소수라고 추정하였다. 성별, 종교, 성장환경, 주구독신문은 환경의식 유형과 유의한 관계가 확인 This two year research aims to find Korean Koreans' perceptions on ecological citizenship, who is key aspects for resolving global environmental problem and also subject for making society more ecologically sustainable and socially just. Then this research scrutinize ideal type of ecological citizenship and frame which can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ecological citizenship and socio-political factor. First year, I empirically analyzes Koreans' perceptions related environment with adopting the concept of ecological citizenship as a theoretical resource and Q methodology as a methodology. Ecological citizenship shows ecological subjects and environmental perception are constellations of the ecological, social, political, economic, international, and science-technology. Q methodology is well developed to disclosure person's subjectivity on a specific issue. 58 statements on ecological citizenship are sorted by 46 Q sorters, then 5 types of perception on ecological citizenship in Kora are extracted; ecological cosmo-politanism, romantic affluent-ism, sympathetic consumerism, territorial developmentalism, shallow conservatism. Ecological cosmopolitanism is very similar to globally ecological and democratic citizen who is supposed to normally ideal by the theory of ecological citizenship. Others are distinguished from ecological cosmopolitanism by perceptions on environment, social relations, maket economy, international relation, and science-technology. This results show us how complex and different environmental perceptions exist, then give insights on concrete shape of ecological citizen and ecological democracy in Korea. And second year I empirically analyzes socio-demographic distributions of complex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nd its relation to environment behavior using online survey as data. The complex environmental consciousness in which bio-physical and social aspects are complexly structured is measured by the types of perception on ecological citizenship; shallow conservatism, romantic affluentism, ecological cosmopolitanism, territorial developmentalism, and sympathetic consumerism, extracted from Q research. This is a trial which combines Q methodology can show muli- and complex consciousness with survey which can generalize results. Few respondents belong to types of shallow conservatism or territorial developmentalism, about 1/5 think their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s ecological cosmopolitanism. But many of respondents presume that environmental consciousness of Koreans are shallow conservatism or territorial developmentalism rather than ecological cosmopolitanism. Environmental consciousness has sta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sex, religion, growing backgrounds, reading newspaper, but not with age, income, education, and residence. Environmental behaviors differ in types of environmental consciousness, individual behavior and collective behavior are in the opposition direction. Information deficiency and concern about discord with others are significant variable in collective behavior. Those finding show what for more ecological and democratic society needs to be deliberated on.
  • Data de criação/publicação: 2012
  • Idioma: Coreano

Buscando em bases de dados remotas. Favor aguardar.